인텔리젠시아 커피(Intelligentsia Coffee) 이야기
시카고 사람들의 자부심, Intelligentsia Coffee

오늘같이 비가 많이 오는 봄 날씨에는 오후에 집이나 사무실 앞 커피 바에 들어가 책 보면서 커피 마시는 게 취미라면 취미였다. 덥지도 않고, 춥지도 않은 딱 좋은 온도에 시원하고 선선한 빗소리 들으면서 책 보거나 메모하는 게 내 나름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이고 평소에 블랙이나 아메리카노만 먹는 내가 우유가 들어간 카푸치노를 드물게 먹는 날이다.
요새는 아예 그러지를 못하니 비가 오는 날이면 우산을 쓰고 나가서 카푸치노를 사 온다. 집 근처에는 시카고 커피 씬(scene)의 자랑인 인텔리젠시아(Intelligentsia)의 바가 있는데, 인텔리젠시아 커피는 한국에는 시카고를 사랑하는 조수용 대표와 매거진B를 통해 잘 알려진 브랜드이기도 하다.


1995년에 처음 문을 연 인텔리젠시아는 25년 동안 고품질의 원두만을 직접 조달해 최상급의 커피를 만들어 파는 “third-wave” 커피 브랜드 중 하나다. 서부에 Philz와 Blue Bottle, 그리고 Stumptown이 있고, 동부에 La Colombe이 있다면 중부에는 인텔리젠시아가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현재는 유럽계 홀딩회사인 JAB Holdings가 인텔리젠시아, 스텀타운 둘 다 소유하고 있다).
어렸을 때부터 인텔리젠시아 커피는 시카고 사람들이 자부심을 느끼는 커피 브랜드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시카고에서 커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칭찬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시카고 주변 커피숍들은 인텔리젠시아의 원두로 커피를 만들기도 했기에 인텔리젠시아 바가 근처에 없더라도 인텔리젠시아의 원두는 먹어볼 기회가 자주 있기도 했다.

인텔리젠시아 커피를 좋아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인텔리젠시아 커피는 맛있고, ‘시카고’ 커피이며 (내 고향이다), 중간 브로커를 거치지 않고 생산자로부터 직접 커피를 수입하는 몇 안 되는 브랜드이기 때문이고, 원두를 포함해 우유와 그 외 원재료들을 최상품들로 구성하는 몇 안 되는 브랜드이기도 하다. 그리고 다른 커피 브랜드가 운영하는 매장보다 인텔리젠시아 커피 바의 경험이 훨씬 더 마음에 들기 때문이다. 나는 스타벅스도 좋아하고, 인텔리젠시아의 모회사인 Peet’s Coffee(인텔리젠시아는 JAB의 손자회사다)의 아메리카노도 너무 좋아하지만, 인텔리젠시아 바에서 직접 먹는 커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맛있다. 인텔리젠시아는 모든 면에서 가치를 타협하지 않는 브랜드다. 그래서 그들은 규모를 늘리지 않기도 하고 (여전히 시카고, 뉴욕, LA를 포함해 13곳이 전부다), JAB에 매각하고 나서도 브랜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기업은 돈을 벌기 위해 존재하는 자본주의의 장치이긴 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지속가능성을 영위하고 생산자와 수요자를 포함한 가치사슬에 있는 모든 구성원을 행복하게 하는 기업은 존재한다. 의류계에서 파타고니아(Patagonia)가 있다면 커피계에는 인텔리젠시아가 있다. 인텔리젠시아는 돈 잘 버는 기업이 아니라, 모두가 행복한 기업을 만드는 기업이다 (돈도 잘 벌 거다. 😊)
코로나 19로 아쉽게 직접 바에 방문해 커피를 마시는 경험은 당분간 누리지는 못하겠지만, 여전히비 오는 날이면 인텔리젠시아 카푸치노를 찾는다.


만일 코로나 19가 다행히도 곧 잠잠해진다면, 시카고 여행을 꼭 한 번쯤은 오는 것을 권하고 싶다. 나는 여기서 20년을 넘게 살았어도 여전히 시카고를 사랑하고 이곳에서 사는 게 정말 행복하다. 다만, 파리나 서울, 뉴욕, 베이징, LA 등과 같은 화려한 도시를 선호한다면 시카고는 하루 이틀 지나면 조금 지루할 수도 있겠다. 뉴욕이나 서울보다는 느리지만, 안정감 있게 움직이는 도시니까.